로그인정보 입력 영역

내서재

더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전자책

  • 다운로드
  • 뷰어사용안내
  • 자료대출안내

새로나온 책

더보기

공지사항

더보기

컨텐츠상세보기

[민담학개론] 민담을 보는 다양한 눈 : 『민담학개론』(1982년, 1~26쪽) (커버이미지)
북레일
[민담학개론] 민담을 보는 다양한 눈 : 『민담학개론』(1982년, 1~26쪽)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김열규 
  • 출판사일조각 
  • 출판일2013-05-31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구술전승문학은 구비문학이라고도 일컬어져 왔고, 또 민담이나 민화로고도 일컬어지고 있다. 달리 설화·민속문학 등 이외에도 민간서사문학이란 용어도 보이고 있다. 최근의 서구학계에서는 민간서사문학이란 말이 가장 안정도가 높게 쓰이고 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아직도 용어마저 통일되지 않은 채 구술전승문학은 그 내용·형식·장르의 다양성만큼 변화 많게 불려지고 있다.

또 국내에서 구술문학을 다루고 있는 분야만 해도 무척 다채롭다. 인류학·민속학·문학·교육학·종교학 그리고 정신분석학과 심리학 등 각 분야는 그 분야대로 옛얘기들을 다루고 있다. 구술문학을 그 연구영역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자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이야말로 자신의 고유한 영역이라고 내세우고 있는 민속학만 해도 만만치 않은 다채로움을 보여 주고 있다.



이같은 연구분야의 다양성 그리고 접근방법의 다채로움이 구술문학의 정체를 통일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방해할 만큼의 위험성을 지니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그렇다고 어느 갈래에서도 다른 갈래를 배제하고 배척할 처지를 독점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다양성이 없을 때, 통일성이란 말은 이미 의미가 없다. 최근 들어서 '다원적 접근'이 시도되고 있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 'Ⅰ. 영역의 다양성' 에서 -

저자소개

연구 인생 60여 년을 오로지 한국인의 질박한 삶의 궤적에 천착한 대표적인 한국학 거장이다.

경상남도 고성에서 태어났으며, 서울대학교 국문학과를 거쳐 동대학원에서 국문학과 민속학을 전공했다.



서강대학교 국문학 교수,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객원교수,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원장을 거쳐 현재 서강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나이 이순(耳順)이 되던 1991년 데이비드 소로와 같은 삶을 살고자 고성으로 낙향했고, 그곳에서 해마다 한 권 이상의 책을 집필하고 수십 차례의 강연을 해오고 있다. 특성화 대안학교인 지리산고등학교에서 글쓰기 특강을 진행하기도 했다.



‘한국학’의 대표적 학자인 그의 반백 년 연구 인생의 중심 주제는 ‘한국인’이었다. 특히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와『한국인의 자서전』을 통해 한국인의 죽음론과 인생론 연구에 공헌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인의 에로스』, 『왜 사냐면, 웃지요』, 『고독한 호모디지털』,

『기호로 읽는 한국 문화』, 『빈손으로 돌아와도 좋다』, 『노년의 즐거움』, 『독서』, 『공부』 외 다수가 있다.

목차

●Ⅰ領城의 多樣性<br /><br />●Ⅱ享有者의 意識과 口述文學<br /><br />●Ⅲ方法과 多樣性<br /><br />

한줄 서평